2024년 청년 적금 및 통장 추천 4가지 | 대학생 | 중소기업 | 경기도 | 부산 | 서울시 | 청년도약계좌 대상 신청방법 | 청년희망적금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적금은 청년들에게 안정적이고, 좋은 재테크로 꼽힐 수 있는 적금입니다. 사회 초년생이라면 지출이 많을 때가 있기 때문에 돈을 모으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금을 한 가지라도 들고 있다면 미래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좋은 환경이 구축되기 때문에 오늘은 2024년 청년 적금을 비롯하여 대학생, 중소기업, 경기도, 부산,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추천하는 적금 통장과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대상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관련 정보 더보기
2024년 청년 적금

청년 적금은 현재 많은 은행에서 적금 상품으로 출시한 것들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추천해드리고자 합니다.
보통 주거래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고 적금 상품을 가입하는데요.
어떠한 부분이 있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추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청년 적금 정보 확인하기🔻
2024년 청년 적금 통장 추천 4가지
적금이나 재테크 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시라면 한 번쯤 들어 보셨을 <청년도약계좌>나 <청년희망적금>이 있습니다.
또한 하나은행의 적금 상품인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이 있습니다. 급여와 월복리가 특징이며, 자동 재예치이며 기간은 1년, 2년, 3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최대 가입 한도 금액은 300만 원이며, 최대 금리는 연 5.85%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우리은행의 적금 상품인 <우리 퍼스트 정기적금>이 있습니다. 기본 금리는 12개월 기준으로 하며, 2.50%의 금리를 가지고 있고 최고 5.50%까지, 1년 동안 월 50만 원 이하의 금액을 적금해야 합니다.
🔻청년 적금 통장 추천 4가지 정보 확인하기🔻
대학생 적금 추천 4가지
대학생 적금으로 첫 번째로 추천해드릴 적금은 신한은행의 정기 적금 상품인 <신한 청년저축왕 적금>은 이자율이 기본 4.35%이며, 최고 5.65%로,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청년 적금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금리를 보여 줍니다. 만 18~39세의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12개월, 24개월, 36개월 중에서 선택할 수 잇으며 기간마다 기본 이자는 상이하다는 것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두 번째로는 사회 초년생이나 20대 대학생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상품이며, 최고 연 7.00%를 받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3.50%의 금리를 가진 적금 상품인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입니다. 최초 가입 금액으로 1천 원, 2천 원, 3천 원, 5천 원, 1만 원 중에서 선택 가능하며,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간은 6개월 동안 하는 짧은 적금 상품입니다.
세 번째로는 제주은행의 <MZ 플랜 적금>입니다. 기본 금리는 12개월 기준 3.80%이며, 최고 금리는 5.70%입니다. 1년과 2년 중에서 기간을 선택하여야 하며, 자동 이체, 급여, 카드, 첫 거래, 은행 애플리케이션 사용 등이 우대 사항입니다.
마지막으로는 토스뱅크의 <굴비적금>을 추천드립니다. 대학생은 큰 금액을 저축하기 어렵고, 이 상품은 3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고, 가입 기간이 6개월이기 때문에 단기 적금 상품이어서 보통 최소 1년 정도의 기간을 가지고 있는 다른 적금에 비해서는 부담이 덜하며, 우대 금리가 3%이기 때문에 적당한 적금 상품입니다.
🔻대학생 적금 정보 확인하기🔻
중소기업 청년 적금 추천 4가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이 있다면 알고 있을 확률이 높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공제에 가입 중인 상황이거나 예정인 기업을 대상으로 두고 있으며, 청년의 정규직 채용일을 기준으로 고용 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2년 동안 매월 125,000원을 적립하면 기업에서 300만 원, 정부에서 600만 원을 적립해 주어서 청년내일채움공제가 만기되었을 때 약 1,200만 원의 목돈이 생깁니다. 단, 동일 사업장에서 최소 2년 동안 근무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있습니다.
🔻중소기업 청년 적금 정보 확인하기🔻
경기도 청년 적금 추천 3가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도 적금이나 재테크 등을 생각하면서 목돈을 마련하고자 노력하시는 분이 계실 텐데요.
청년적금 통장의 경우에는 만 34세 혹은 39세 이하의 나이의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적금을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경기도 노동 통장, DB저축은행의 <M-with 유>, 신한저축은행 <청포도>가 있습니다.
🔻경기도 청년 적금 정보 확인하기🔻
부산 청년 적금 추천 3가지
<부산청년기쁨두배통장>은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부터 만 34세 이하의 근로 청년을 대상으로 적금 가입자가 납입하였던 금액에 따라서 부산광역시에서 매칭 지원금을 1:1로 지급해 주고 있는데요. 청년이 10만 원 납입하였을 때 부산시에서는 10만 원의 지원금을 주어서 총 20만 원을 입금할 수 있게 하는 적금입니다.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해 주기 때문에 18개월 납입하였을 때 1,080만 원과 이자를 지급 받을 수 있는 적금입니다.
이 외에도 부산은행 <너만 solo 적금>이 있으며, 부산은행 <엘포인트 적금> 등이 있습니다.
🔻부산 청년 적금 정보 확인하기🔻
서울시 청년 적금 추천 4가지

서울시에서도 청년들의 자립과 미래 계획을 함께 달성하기 위해서 <희망두배 청년통장> 상품을 출시하였는데요. 매월 10만 원에서 15만 원씩 2년, 혹은 3년 동안 저축하게 되었을 때 원금과 동일한 금액을 적립해 주는 제도이기 때문에 청년들에게 인기가 좋습니다.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등과 비교하였을 때 금액은 적은 편에 속하더라도 혜택은 크고, 중복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이 외에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등이 있습니다.
🔻서울시 청년 적금 정보 확인하기🔻
청년도약계좌 대상 신청방법
앞서 몇 번이나 언급되었던 청년도약계좌의 대상은 매월 최대 70만 원 한도 이내에서 5년 동안 자유 납입하는 연 6%의 금리를 가지고 있는 상품입니다.
기본 금리가 4.5%이며, 우대 금리가 1.5%인데요. 보통 급여 이체를 하거나 카드 거래 등의 조건이 있습니다.
개인 소득의 경우에는 직전 과세 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 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여야 하고,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이 180% 이하에 해당되는 사람이어야 가입 대상자가 됩니다.
가입하고자 하는 시중 은행을 선택하고,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서 신청 기간에 뜨는 미리보기 창이나 신청 팝업창을 통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보 확인하기🔻
청년희망적금 대상 신청방법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씩 자유로 납입하고, 만기는 최대 2년입니다. 시중 이자와 저축 장려금(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 금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이 포함되며,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적용합니다.
신청 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만 가입할 수 있으며, 개인 소득의 경우에는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총 급여가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일 경우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국세청을 통해서 소득 금액 증명이 가능한 청년만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취업준비생이나 무직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가입하는 방법은 신청일에 맞춰서 신청하는 것인데요. 사업에 참여하게 된 시중 은행 중 주거래 은행에서 신청해도 되고, 다른 은행에서 신청하셔도 되기 때문에 편한 은행에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 하단 배너 광고 혹은 팝업창으로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안내 예정되며, 신청 이후 2~3 영업일 이내로 문자 알림을 통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정보 확인하기🔻
✅️ 관련 정보 더보기
📌 2024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서류 및 신청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