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최저시급 및 최저임금 계산기 (결정) | 알바 | 월급 연봉 실수령액 | 주휴수당 | 계산방법 | 퇴직금 계산기 | 실업급여 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저 시급이란 국가가 노사 간의 임금 결정 과정에 개입하여서 최저 수준의 임금을 정한 다음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법을 제정하여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요.
점점 높아져 가는 고 물가 시대에 최저 시급은 거의 큰 폭 없이 오르는 편이라 동결되어 있는 수준이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2024년 최저 시급, 즉 최저 임금을 새롭게 개정하였다고 하니 오늘은 2024년 최저시급과 비롯하여서 여러 가지의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 정보 더보기
2024년 최저시급

2023년 최저 임금은 9,620원으로 전년도 2022년도 대비 5.0%가 인상된 금액인데요. 9,160원이었던 2022년도의 최저 시급과 2024년도 최저 시급을 비교해 보면 총 700원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00원이라고 하니 체감상 많이 오른 것 같지 않기는 하지만 월급으로 따지면 대략 20만 원 정도가 오른 금액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월급이 오르기 전에 생활 필수품이나 식비 등이 전반적으로 오른 상황이기 때문에 20만 원이 올랐다고 해서 생활이 풍족해지기는 어려운 것 같기도 합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년 최저임금 계산기 (결정)
2024년의 최저 임금은 9,860으로 결정되었는데요. 만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결국 넘기지는 못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내 시급에 대한 계산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아래의 [시급 계산기] 버튼을 클릭하여 쉽고 간편하게 계산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년 최저시급 알바
최저 시급의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경우라면 어렵지 않게 공고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년 최저시급 월급 연봉 실수령액
2023년 대비 240원, 2.5% 인상된 2024년 적용 최저 임금안 시간급은 9,860원입니다. 이것을 월급으로 환산하게 된다면 주 40시간 일한다는 가정과 월 209시간 기준으로 두었을 때 1개월 환산 금액은 2,060,740원입니다.
비과세액이 20만 원이라 가정하고, 본인을 포함한 부양 가족수가 1명일 때를 계산하면 국민연금에서 4.5%인 83,730원, 건강보험의 3.545% 65,960원, 요양보험 12.81%인 8,440원, 고용보험 0.9%인 16,740원, 근로소득세(간이세액) 16,350원, 지방소득세 10% 1,630원을 제외하면 월 예상 실수령액은 1,867,890원입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주휴 수당은 일주일 중 15시간 이상 일을 하고 있는 근로자에게는 법적으로 주어지고 있는 유급 휴가를 의미합니다.1
하루에 8시간씩 일주일 중 5일을 근무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최저 월급은 대략 206만 원 정도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하루에 8시간씩 5일을 일한다면 한 주 동안 40시간 정도를 근무한다는 의미인데요. 5일을 근무하였을 때 주휴일이 하루 포함되기 때문에 48시간으로 계산되며, 월 근무 시간은 209시간으로 계산이 되는 것입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년 최저시급 계산방법

최저 시급을 주급과 월급으로 설정하여 계산할 수가 있는데요. 고정적으로 한 달 동안 근무하는 시간이 얼마인지, 선택 근무 시간은 얼마인지 나누어서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문단의 하단에 위치해 있는 [최저 시급 계산하러 가기] 버튼을 눌러서 직접 임금을 계산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참고하자면 주휴 수당의 경우에는 본인의 근무 시간에 따라서 다르게 책정되기 때문에 [1주일 동안의 근로 시간 ➗ 40시간 ✖️ 8시간 ✖️ 최저 시급]을 계산하였을 때 최저 시급에 맞는 주휴 수당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퇴직금 계산기
퇴직금을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들도 많고, 세전 기준으로 따져 보았을 때 1개월 전, 2개월 전, 3개월 전 등의 기본급과 기타 수당이 다르다면 복잡하게 계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실업급여 계산기

혼자 계산 공식을 생각하며 계산하는 것이 머리 아프기도 하고, 헷갈리실 수도 있으실 텐데요. [실업급여 얼마인지 확인하기] 버튼 링크를 클릭하여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편리하게 계산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4년 최저시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관련 정보 더보기